반응형
거시적 실천을 위한 준거틀
- 지역사회의 문제는 한 사람의 클라이언트에게서 제기된 것일 수도 있고, 지역주민이 집단으로 제기하는 문제일 수도 있다. 또한 문제가 발생하는 지역사회와 조직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지역사회의 문제와 인구대상, 영역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사회복지사는 불가피하게 문제, 인구대상, 영역이 중복되는 곳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우선 문제와 인구 대상이 만나는 부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나아가 지역사회의 문제와 욕구는 해당 지역사회와 인구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공식적인 정책의 맥락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정책은 지역사회를 둘러싼 정치적∙사회적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지역사회의 문제해결은 지역사회의 문제에 관한 정책과 정책환경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해야한다.
- 예를 들면, 지역사회에서 제기되는 문제가 청소년 학교폭력이라면, 학교폭력문제와 청소년 인구집단에 관한 문헌과 자료의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청소년 인구집단이 학교폭력문제가 해당 지역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토해야 한다.
거시적 실천의 의의
지역사회복지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개별적인 미시적 실천의 한계를 뛰어넘는 전문직의 실천방법
거시적 사회복지실천가들의 활동 목표 : ① 지역사회의 능력 향상과 사회통합, ② 지역사회문제의 해결, ③ 서비스와 프로그램의 제공을 통한 지역사회주민의 욕구 충족
거시적 실천개입이 이루어지는 현장(로스만(Rothman, 2001) : ① 지역사회(communities), ② 조직체(organizations), ③ 소집단(small groups)
거시적 실천을 위한 관점
생태학이론 : 인간은 그들의 신체적·정신적 요구에 맞게 물리적·사회적 환경을 변화시키고, 또한 자신이 초래한 변화에 지속적으로 상호적응하게 됨, 인간의 성장과 발달은 인간과 환경 간 교류의 결과로 생겨난 산물임
체계이론 : 하나의 생활체는 그것을 구성하는 여러 부분으로 되어 있고, 여러 부분 간의 상호작용과 관련성에 의해 조직화되고, 계층적으로 상하체계와 서로 관련하여 작용하고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