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 2급 준비

사회복지실천론 9-1 사회복지실천의 면접 Ⅱ

6분대기조 2024. 12. 12. 10:18
반응형

면접의 구성요소
1) 내적인 요소

신뢰관계 : ‘라포’라고 하며 대상자와 사회복지사 간의 상호 이해와 관계를 수립하는 친근감, 신뢰감, 안정감, 조사, 공감, 화합 등의 정서적 유대를 의미함

2) 외적인 요소

- 장소 : 너무 어둡거나 밝지 않은 채광과 조명, 춥거나 덥지 않은 온도, 면접에 적절한 가구와 분위기, 등을 기댈 수 있는 의자, 비밀 보장이 되는 안전한 공간 등을 고려해야 함
- 시간 : 시작 시간과 진행 시간을 미리 약속하면 목적에 부합하고 초점에 집중하는 면접이 이루어짐
- 기록기술 : 면접 중에 특징적인 것을 기억해 두었다가 면접 직후에 자세하게 기록하는 것이 효과적임
- 옷차림과 행동 : 기관의 전통이나 클라이언트의 기대를 고려하며, 클라이언트에 대한 관심과 염려를 보여줄 수 있는 행동을 함

3) 면접의 구조

- 시작단계 : 만남의 목적, 계약 관련, 앞으로 해야 할 일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함
- 중간단계 : 클라이언트의 상황에 관심과 에너지를 집중시키며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가 해야할 것을 고려함
- 종결단계 : 내용뿐만 아니라 감정 면에서도 종결에 대한 준비가 되어야 함

면접의 유형
- 구조화된 면접 : 조사대상의 수가 많은 경우 사전에 구조화된 조사표, 대개는 질문지를 가지고 면접조사를 실시함

- 반구조화된 면접 : 표준화와 비표준화의 중간 형태로서 개략적인 조사표를 가지고 융통성 있게 면접내용을 조정하는 경우를 말하며, 반표준화 면접 또는 준구조화 면접이라고도 함

- 비구조화된 면접 : 면접의 목적에 따라 개방적으로 진행되는 면접형식으로 피면접자의 세계에 대해 심층적이며 자세한 묘사와 이해를 얻고자 할 때 사용함

목적에 따른 사회복지실천의 면접에는 정보수집 면접, 사정면접, 치료를 위한 면접이 있음

반응형